개요
최근 파워포인트 작업을 할일이 생겨서 몇가지 같이 나눠보고자 합니다.
PPT를 잘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해보니까 아래와 같은 부분들을 체크하면서 작성한다면, 더 좋은 프레젠테이션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프레젠테이션을 할 대상이 누구입니까?
사장님, 고객, 상사, 회사 내부 공유용 등등 목적에 따라서 프레젠테이션 문서(이하PPT)의 내용은 달라지게 마련입니다.
2. 발표할 문서의 핵심 요소 정리
어떤 부분을 발표 하고 싶은지 목표를 확실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쓰기 전에 자신도 핵심을 모르고 쓰다 보면 끝나고 나서 자신도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뭘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 잊지 말 것)
ex) 게임 PPT라면 이 기획서의 핵심 키워드를 미리 적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핵심 요소를 이미지나 도표로 표현
핵심 부분을 사람들이 인지가 쉽게 이미지와 도표로 표현합니다. 프레젠테이션을 받는 사람들은 문서를 보다가 지루해질 수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그림과 소리, 표가 이해를 쉽게 하고 몰입도를 높입니다. 처음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이목 집중을 위해 해당 내용과 연관이 있는 4컷 만화, 아니면 동영상 등을 보여주어 청중을 집중하게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발표하는 PPT의 경우)
4. 충분한 부연 설명
주제에 대해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만 PPT를 보여준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모르는 사람이 봐도 충분히 이해가 갈 수 있게 부연 설명이 꼭 필요합니다.
5. 조심해야할 것
1) 개발자나 전문가나 알고 있는 전문용어는 대상에 따라서 맞게 써야 합니다.
2) PPT에 너무 다양한 색을 써서 가독성을 떨어뜨리게 하면 안됩니다.
3) PT의 장수는 프레젠테이션을 직접 할 경우 고려해서 작성 해야합니다. 이때 텍스트가 너무 많으면 보는 사람은 수많은 글자 때문에 집중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핵심 키워드를 적고 말로 부연 설명을 하는 경우가 훨씬 더 좋습니다.
6. 게임 소개서
게임 기획자이기 때문에 게임 소개서 PPT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보자면 장르(MMORPG,아케이드,시뮬레이션)로서 어떤 특징, 타 게임과 차별점은 무엇인지를, 왜 유저가 그걸 해야 하는지 등등을 작성해야 합니다.
타겟 유저층이나 설정하고 게임 내용으로 전제를 뒷받침해주는 데이터를 포함하면 좋습니다. ex) 우리는 초등학생 타겟이다. 게임 시스템 보면 초등학생들이 이래저래 해서 좋아할 만한 것들이 많이 있고, 유사 장르의 게임 유저 수는 000,000명이다.
기존 게임과 다른 특별한 컨셉은 어떤 것인지, 현재 시장상황에 대한 파악은 필요하지만, 그 부분이 이 게임의 성공 요소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재미가 있는지에 대한 설득에 관한 문서의 컨셉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p.s 이 글 작성 초안을 준 KaoKao형에게 감사 드립니다.
2008.09.16 에 작성한 글
3년 정도의 경력을 가진 상태에서 작성한 글이네요. 지금 보면 사실 내가 저렇게 하고 있나? 라는 생각도 들고... 지금 글을 보면 부끄럽기도 하지만 저 당시에 파워포인트를 활용해서 문서를 쓸 때 고민했던 내용들이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사실 지금 파워포인트를 작성 할 때도 비슷한 고민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멈출 수 없죠? 중요한 것은 꺽이지 않는 마음입니다.
계속 작성해서 피드백 받아보고 한다면 실력은 향상되어 있을 것입니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상상하는 게임 수학 로드맵 (0) | 2020.04.15 |
---|---|
나는 게임기획자다 소개(I’m a Game Designer) (0) | 2020.04.04 |
WOW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리뷰 - 리치왕의 분노 (0) | 2020.04.03 |
이브온라인 EVE Online 플레이 후기 (0) | 2020.04.03 |
라프 코스터의 재미이론 (0) | 2020.04.03 |
댓글